
![[The Art of Data 1회] 왜 데이터 시각화인가: 모두를 위한 데이터 시각화](https://static.wixstatic.com/media/e33834_667616629b0f441d935ca3f4634cf193~mv2.jpg/v1/fill/w_311,h_334,fp_0.50_0.50,q_90,enc_auto/e33834_667616629b0f441d935ca3f4634cf193~mv2.jpg)
[The Art of Data 1회] 왜 데이터 시각화인가: 모두를 위한 데이터 시각화
송한나의 THE ART OF DATA (1회) : 왜 데이터 시각화인가: 모두를 위한 데이터 시각화 데이터 시각화에 대한 관심은 지난 몇 년간 꾸준히 증가해왔습니다. 그걸 어떻게 알 수 있냐고요? 정말 그런지 Google Trends에서 알아봤습니다. Google Trends에서 data visualization에 대한 관심도를 검색해 보니 [그림 1]과 같이 지난 5년 간의 검색 관심도를 꺾은선 그래프로 보여주네요. 약간의 등락이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관심도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일정한 간격으로 갑자기 관심도가 낮아지는 패턴이 보이네요. 그래프로 보이는 날짜로 추측해보면 대략 매년 12월 시점입니다. 사람들이 12월에는 데이터 시각화에 대해 생각하기 싫어하는 것 같군요. 관련된 검색어에 대해서도 같은 현상이 나타나는지 살펴봅시다. [그림 1] 시간 흐름에 따른 'data visualization’에 대한 관심도 변화(출처: googl

강연 | 인포그래픽 트렌드 2017
인포그래픽 트렌드 2017 : 성공적인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인포그래픽 트렌드 및 방법론 웹월드 콘텐츠 서비스 2017 컨퍼런스 | 비즈델리 2017년 2월 23일 | 과학기술센터 마케팅 채널이 전통적인 매체에서 디지털 매체로 옮겨가면서 콘텐츠 마케팅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텍스트 콘텐츠나 단순한 비주얼 콘텐츠에 비해 인포그래픽은 3배 이상 공유되는 효과가 있습니다. 인포그래픽을 통해 정보를 더 호소력있게 만듦으로써 사용자의 주의를 끌고 쉽게 이해하고 기억하기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향에 따라 마케팅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제작하고 공유할 수 있는 서비스들이 다양하게 등장하고 있습니다. 인포그래픽이 매우 효과적으로 쓰이는 데이터 저널리즘 분야는 이미 매우 대중화되어 대부분의 언론매체에서 인포그래픽과 데이터시각화를 중요한 기사형식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인포그래픽의 정보전달력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모션그래픽 형식이나 인터랙티브 형식

워크샵 | 비즈니스 인포그래픽 워크샵
비즈니스 인포그래픽 워크샵 : 효과적인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인포그래픽 제작 SK텔레콤 신입매니저 연수과정 2017년 2월 7일 | SK텔레콤 비즈니스 현장에서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넘쳐나는 데이터와 정보의 홍수 속에서 메시지를 설득력있게 전달하는 능력은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 필수적인 업무능력라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복잡한 정보를 함축적으로 요약하고 스토리텔링을 통해 핵심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있어서 인포그래픽은 매우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기업의 내부 커뮤니케이션 뿐만 아니라 고객과의 소통에 이르기까지 인포그래픽은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SK텔레콤의 신입매니저를 위한 비즈니스 인포그래픽 워크샵에서는 인포그래픽의 개념과 구성 요소, 제작 방법을 익히고 실제로 인포그래픽을 제작하는 과정을 통해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었습니다. 짧은 시간이라도 핵심적인 방법을 익힌다면 누구나 손쉽

강연 | 데이터시각화 입문 A to Z
데이터시각화 입문 A TO Z : 데이터시각화를 시작하는 사람들을 위한 안내서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산업수학혁신센터 2017년 2월 2일 | 판교 스타트업캠퍼스 지금은 데이터의 시대입니다. 우리 주변에는 끊임없이 데이터가 흘러넘치고 있고, 데이터를 분석하여 현상의 이면에 깊이 숨겨진 진실을 꺼내어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데이터분석의 결과를 사람이 이해하기 위해서는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표현해야 합니다. 뉴스를 볼 때에도, 보고서를 쓸 때에도, 매일 수많은 차트와 그래프를 보거나 쓰고 있습니다. 우리가 일상적으로 쓰고 있는 차트들은 과연 언제, 누가 만들었을까요? 데이터시각화와 인포그래픽은 어떻게 다를까요? 데이터시각화는 무엇으로 만들 수 있을까요? 데이터를 정확히 표현하기 위한 방법은 무엇이고, 흔한 실수를 하지 않으려면 어떻게 할까요? 데이터시각화란 무엇인지, 데이터시각화를 잘 만들고, 잘 읽기 위한 방법은 무엇이지 알아봅니다. 1. 간단한 역사 :